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아메리카 편지] 한국의 진로

캐나다 사람들의 자기 나라에 대한 자부심은 상당하다. 하지만 자부심에는 그늘도 있다. 캐나다는 북미의 스칸디나비아라고 불릴 정도로 사회민주주의적 가치와 복지 시스템이 잘 발달되어 있다. 낮은 인구 밀도와 더불어 자연 친화적 문화를 자랑하며, 노동자 권리가 잘 보호되는 건 물론 최저임금이 상당히 높다. 어떻게 보면 미국보다 진보적이고 살기 좋은 나라다. 하지만 문화적·경제적으로 미국에 크게 의존하면서 미국을 향한 동경과 질투, 열등감이 뒤섞인 복잡한 감정을 품고 있기도 하다. 자국민에게 혜택과 특권이 돌아가는 보호주의적인 문화정책이 어느 정도 필요한 이유다.   토론토 대학에서 교수 노릇 한 지 10년이 되어가는 지금 “자랑스러워라! 캐나다 사람이여(Proud to be Canadian)”라는 슬로건의 부상을 목격하고 있다. 트럼프의 관세 위협에 맞서 캐나다인들의 반미정서가 애국심으로 집결되고 있는 것이다. 2018년 트럼프 1기 때 철강·알루미늄 관세가 부과되자 자국 제품을 구매하자는 ‘메이드 인 캐나다(Made in Canada)’ 운동이 확산됐던 것처럼 이번에도 미국 제품 불매운동이 일어나고 있다. 미국은 캐나다의 최대 교역 상대국이다. 캐나다 전체 수출의 75%와 전체 수입의 50%를 차지한다. 캐나다를 미국의 51번째 주로 만들겠다는 트럼프의 어이없는 발언은 캐나다인들의 자주성과 경제적 독립 의지를 강화해 결속력을 다지는 계기가 되고 있다. 심지어 독립을 주장해왔던 퀘벡에서조차 애국심이 강화되고 있다고 한다.   트럼프의 미국 우월주의와 보호무역 정책, 무모한 언행은 전 세계적인 반미감정을 부추겨 미국은 더 이상 존경받지 못하는 나라가 될 것이다. 미국 경제도 그의 뜻대로만 움직이지는 않을 것이다. 이러한 세계사적 틈바구니에서 한국의 진로는 어때야 하는지에 대한 깊은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 하겠다. 김승중 / 고고학자·토론토대 교수아메리카 편지 한국 진로 캐나다 전체 캐나다 사람들 제품 불매운동

2025-02-10

캐나다서 대학교 다리려면 한 해에 얼마나 필요할까?

 9월에 새로 시작한 학년도에 캐나다에서 석사 과정이 가장 비싼 주로 BC주가 나왔다.   연방통계청이 2023-2024학년도의 포스트세컨더리 교육 관련 통계 자료를 5일 발표했는데, BC주가 석사 과정에 연간 1만 748달러의 평균 교육비가 들어가 전국에서 가장 비싼 것으로 나왔다.   캐나다 전체로 새 학년도의 풀타임 석사 과정 평균 수업료는 7573달러, 학사 과정은 7076달러였다. 이는 전년보다 2.2%, 3%가 각각 인상된 수치다.   학부 과정 수업료가 가장 비싼 주는 노바스코샤주로 9575달러였으며, 그 뒤로 사스카추언주가 9232달러, 뉴브런즈윅이 8706달러였다. BC주는 6383달러로 7번째로 낮은 편에 속했다. 가장 저렴한 수업료를 보인 주는 퀘벡주로 3461달러였다.   석사 과정에서는 BC주가 가장 비싼 편이었으며, 이어 노바시코샤가 1만 548달러, 온타리오주가 9445달러를 각각 기록했다. BC주는 전국 평균에 비해 무려 41.9%나 높았다. 가장 저렴한 주는 뉴펀들랜드앤래브라도주로 3228달러였으며, 이어 퀘벡주가 3633덜러였다.     유학생에 대한 수업료는 캐나다 영주권이나 시민권자에 비해 크게 높았다. 풀타임 석사 과정은 평균 2만 2061달러, 학사 과정은 이보다 더 비싼 3만 8081달러였다. 이는 전년에 비해 4.3%와 6.3%가 높아진 것이다.   각 주별 유학생의 학사과정 평균 수업료를 보면, 온타리오주가 4만 6433달러, BC주가 3만 5266달러, 퀘벡주가 3만 1887달러였다. 가장 저렴한 주는 뉴펀들랜드앤래브라도주로 1만 7477달러였다.     석사 과정 평균은 온타리오주가 2만 8152달러, BC주가 2만 2441달러, 그리고 노바스코샤주가 2만 2768달러로 비싼 주가 됐다. 반면 가장 저렴한 주도 역시 뉴펀들랜드앤래브라도주로 4806달러였다. 표영태 기자캐나다 대학교 석사 과정 학사과정 평균 캐나다 전체

2023-09-06

4월 캐나다 실업률 5.2% 기록

 코로나19로 크게 악화됐던 캐나다의 노동시장 상황이 크게 개선되어 4월에도 전달보다 실업률이 내려가는 등 뚜렷한 회복세를 보였다.   연방통계청이 6일 발표한 4월 노동시장 통계에 따르면, 전국 실업률은 전달의 5.3%에서 0.1% 포인트 하락한 5.2%를 기록했다.   전국의 총 고용인원은 전달보다 0.1% 늘어난 1960만 1000명이었다.   BC주의 실업률은 5.4%로 전국 평균보다 0.2% 포인트가 높았다. 하지만 전국 평균보다 낮은 실업률을 기록한 주는 3.9%의 퀘벡주와 5%의 마니토바주 밖에 없었다. 즉 BC주는 온타리오주와 함께 3번째로 양호한 실업률을 기록했다.   BC주의 실업률은 지난달 5.1%와 비교할 때는 0.3% 포인트가 높아진 것이다. 우선 전체 고용 인원이 전달의 273만 78000명에 비해 4월에 273만 5800명으로 2000명이 줄었다. 또 일을 원하는 노동자가 전달에 비해 7200명이 늘어나면서 노동참여율은 65.4%에서 65.5%로 높아졌다. 결국 실업자 수가 14만 6400명에서 15만 5600명으로 늘었다. 고용률도 62.1%에서 62%로 1% 포인트 하락했다.   이에 대해 BC주의 직업경제회복혁신부의 래비 캘론 장관(Ravi Kahlon, Minister of Jobs, Economic Recovery and Innovation)은 "8개월 연속 고용이 늘어나다 4월에 2000개의 일자리가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캐나다 전체 경기 회복을 주도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캘론 장관은 "BC경기가 계속 성장하면서 코로나19 대유행에서 회복하는 상태여서, 주민 모두가 뒤쳐지지 않고 동반 성장할 수 있도록 집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전국적으로 고용 증가를 주도하는 산업은 전문과학기술서비스 분야로 나타났다. 그러나 소매업 고용이 올해 들어 처음으로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 건설업도 4개월 연속 상승하다 4월에 감소를 기록했다.   표영태 기자캐나다 실업률 캐나다 실업률 전국 실업률 캐나다 전체

2022-05-0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